제 1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평가의 개념
- 학습내용
- 평가의 중요성
평가의 정의 평가 용어
- 학습목표
- 평가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.
평가를 정의할 수 있다. 평가 용어를 구분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평가자의 역할과 언어 평가의 정의
- 학습내용
- 평가자의 종류와 역할
평가와 교수의 위상 언어 평가의 정의
- 학습목표
- 평가자의 종류와 역할을 분류할 수 있다.
평가와 교수의 위상을 이해할 수 있다. 언어 평가를 정의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2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언어 능력 모델 이론
- 학습내용
- Chomsky와 Hymes의 언어 능력 모델
Canale & Swain과 Bachman의 언어 능력 모델 언어 능력 모델 이론에 대한 정리와 전망
- 학습목표
- Chomsky와 Hymes의 언어 능력 모델을 이해할 수 있다.
Canale & Swain과 Bachman의 언어 능력 모델을 이해할 수 있다. 언어 능력 모델을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언어 숙달도
- 학습내용
- 숙달도의 개념과 활용
숙달도와 언어 기술 언어 숙달도 등급
- 학습목표
- 숙달도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숙달도와 언어 기술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. 언어 숙달도에 따른 등급을 분류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3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언어 평가의 기능과 언어 평가의 요건(신뢰도, 실용도)
- 학습내용
- 언어 평가의 기능
신뢰도 실용도
- 학습목표
- 언어 평가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.
언어 평가 요건의 하나로서 신뢰도를 설명할 수 있다. 언어 평가 요건의 하나로서 실용도를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언어 평가의 요건(타당도)
- 학습내용
- 평가 개발 관련 타당도
평가 준거와 평가 시행 관련 타당도 타당도, 신뢰도, 실용도 간의 관계
- 학습목표
- 평가 개발 관련 타당도를 세분화할 수 있다.
평가 준거와 시행 관련 타당도를 분류할 수 있다. 타당도, 신뢰도, 실용도 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4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언어 평가의 종류
- 학습내용
- 구술·서면, 비공식·공식, 형성·총괄 평가
규준 지향·준거 지향, 교실·대규모, 객관적·주관적 평가 직접·간접, 분리·통합, 속도·능력 평가
- 학습목표
- 구술·서면, 비공식·공식, 형성·총괄 평가를 구분할 수 있다.
규준 지향·준거 지향, 교실·대규모, 객관적·주관적 평가를 구분할 수 있다. 직접·간접, 분리·통합, 속도·능력 평가를 구분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언어 시험의 종류와 대안적 언어 평가
- 학습내용
- 수험자 대상과 평가 내용에 따른 언어 시험의 종류
활용 목적에 따른 언어 시험의 종류 대안적 언어 평가
- 학습목표
- 수험자 대상과 평가 내용에 따른 언어 시험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.
활용 목적에 따른 언어 시험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. 대안적 언어 평가를 이해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5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영어 평가의 역사
- 학습내용
- 과학 이전 시기와 심리측정학적·구조주의 시기
통합적 · 사회언어학적 시기 의사소통적 시기와 앞으로의 전망
- 학습목표
- 과학 이전 시기와 심리측정학적·구조주의 시기의 영어 평가를 이해할 수 있다.
통합적·사회언어학적 시기의 영어 평가를 이해할 수 있다. 의사소통적 시기의 평가와 앞으로의 전망을 기술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한국어 평가의 역사
- 학습내용
- 조선 시대 이전
대역식 시기, 문법번역·심리측정·구조주의 시기 심리측정·의사소통 시기
- 학습목표
- 조선 시대 이전의 외국어 평가를 이해할 수 있다.
대역식 시기, 문법번역·심리측정·구조주의 시기의 외국어 평가를 파악할 수 있다. 심리측정·의사소통 시기의 외국어 평가를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6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과 숙달도 등급
- 학습내용
- 의사 소통 능력의 개념
숙달도의 등급 설정 숙달도의 등급 해석
- 학습목표
- 의사 소통 능력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숙달도의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. 숙달도의 등급을 해석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의사소통의 메커니즘과 의사소통 능력의 판단
- 학습내용
- 의사소통의 개념 정의
의사소통의 메커니즘 의사소통 능력의 판단
- 학습목표
- 의사소통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.
의사소통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. 의사소통 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7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서답형 문항
- 학습내용
- 서답형 문항의 유형
서답형 문항의 채점 방식 서답형 문항의 채점자 훈련
- 학습목표
- 서답형 문항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.
서답형 문형의 채점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. 서답형 문항의 채점자 훈련 과정을 이해하고 채점 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선택형 문항 및 그 외 수행 평가 유형
- 학습내용
- 선택형 문항의 유형
선택형 문항의 채점 방식과 채점자 훈련 그 외 수행 평가 유형
- 학습목표
- 선택형 문항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.
선택형 문항의 채점 방식과 채점자 훈련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. 그 외 수행 평가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8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학습내용
- 학습목표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학습내용
- 학습목표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|
제 9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한국어 듣기 평가의 개념과 목표, 유형
- 학습내용
- 듣기의 개념
듣기 평가의 목표와 텍스트 유형 듣기 평가 문항 유형
- 학습목표
- 듣기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.
듣기 평가의 목표와 텍스트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. 듣기 평가 문항 유형을 분류하고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듣기 평가의 개발 지침
- 학습내용
- 듣기 평가의 텍스트 작성 지침
듣기 평가의 문항 작성 지침 듣기 평가의 녹음 지침과 실제 예
- 학습목표
- 듣기 평가의 텍스트 작성 지침을 이해할 수 있다.
듣기 평가의 문항 작성 지침을 설명할 수 있다. 듣기 평가의 녹음 지침을 서술하고 실제 예에 적용해 볼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10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한국어 읽기 평가의 개념과 목표, 유형
- 학습내용
- 읽기의 개념
읽기 평가의 목표와 텍스트 유형 읽기 평가 문항의 유형과 개발 지침
- 학습목표
- 읽기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.
읽기 평가의 목표와 텍스트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. 읽기 평가 문항의 유형과 개발 지침을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읽기 평가 개발 지침
- 학습내용
- 읽기 평가의 텍스트 작성 지침
읽기 평가의 문항 작성 지침 읽기 평가의 실제 예
- 학습목표
- 읽기 평가의 텍스트 작성 지침을 분석할 수 있다.
읽기 평가의 문항 작성 지침을 이해할 수 있다. 읽기 평가의 실제 예에 적용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11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한국어 쓰기 평가의 개념과 목표, 유형
- 학습내용
- 쓰기의 개념
쓰기의 평가 목표 쓰기 텍스트의 유형
- 학습목표
- 쓰기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.
쓰기의 평가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. 쓰기 텍스트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한국의 쓰기 평가 문항의 유형
- 학습내용
- 쓰기 평가 문항 개발의 요소
쓰기 평가 문항 개발의 원리 쓰기 평가의 최종 문항 결정 원리
- 학습목표
- 쓰기 평가 문항 개발의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.
쓰기 평가 문항 개발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. 쓰기 평가의 최종 문항 결정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12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쓰기 평가 개발 지침
- 학습내용
- 쓰기 평가의 문항 작성 지침
쓰기 채점 지침 쓰기 평가의 실제 예
- 학습목표
- 쓰기 평가의 문항 작성 지침을 이해할 수 있다.
쓰기 채점 지침을 설명할 수 있다. 쓰기 평가의 실제 예에 적용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개념과 목표
- 학습내용
- 말하기의 개념
말하기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 말하기 평가의 목표
- 학습목표
- 말하기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.
말하기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을 나열할 수 있다. 말하기 평가의 목표를 이해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13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말하기 텍스트와 평가의 유형
- 학습내용
- 말하기 텍스트 유형과 입력 자료
말하기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요소와 원리 말하기 평가의 최종 문항 유형 결정 원리
- 학습목표
- 말하기 텍스트 유형과 입력 자료를 이해할 수 있다.
말하기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요소와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. 말하기 평가의 최종 문항 유형 결정 원리에 따라 문항을 분석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말하기 평가 개발 지침
- 학습내용
- 말하기 평가의 문항 작성 지침
말하기 채점 지침 OPI 시험과 인터뷰 지침 및 실제 예
- 학습목표
- 말하기 평가의 문항 작성 지침을 설정할 수 있다.
말하기 채점 지침에 따라 채점할 수 있다. OPI 시험과 인터뷰 지침을 이해하고 실제 예에 적용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14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한국어 시험의 개발과 실시
- 학습내용
- 시험 계획 수립
시험 문항 및 과제 개발 시험 실시
- 학습목표
- 시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
시험 문항과 시험 과제를 개발할 수 있다. 시험 실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시험 실시 후 단계와 평가자의 역할
- 학습내용
- 시험 실시 후 단계
평가자의 역할 한국어 평가의 향후 개선점
- 학습목표
- 시험 실시 후의 절차를 나열할 수 있다.
평가자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. 한국어 평가의 향후 개선점을 모색할 수 있다.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- 들어가기
- 학습하기
- 적용하기
- 정리하기
- <수업보조자료>
- - 학습자 교안
- - 강의 음성(MP3)
- - 오리엔테이션
- <주요수업방법>
- 원격 강의
|
제 15주 |
1차시 |
- 차시제목
- 학습내용
- 학습목표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|
2차시 |
- 차시제목
- 학습내용
- 학습목표
-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
-
|